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194414.html
[기획칼럼]
콘클라베, ‘신의 뜻’이라는 허상… 밀실에서 태어난 교황제의 민낯
현대 민주주의와 충돌하는 가톨릭 교황 선출 구조
전 세계 10억 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인 교황은 어떻게 선출될까. 일반 신자들은 그 과정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교황 선출 회의인 '콘클라베(Conclave)'는 극소수의 추기경들만 참여할 수 있는 비공개 회의로, 전통이라는 이름 아래 오늘날의 민주적 가치와는 동떨어진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콘클라베'는 라틴어로 ‘열쇠로 잠근 방’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말 그대로 교황 선출은 외부와 철저히 차단된 공간에서 이뤄진다. 선거권을 가진 약 120명의 추기경만이 바티칸 내 특정 구역에 입장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이전 교황들에 의해 임명된 고위 성직자들이다. 신자 대중은 물론, 하위 성직자들조차 이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된다.
이는 종교계의 지도자 선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규모와 영향력에 비춰볼 때 현대 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폐쇄적 의사결정 구조다. 특히 교황은 단지 종교적 상징에 그치지 않고, 세계 각국의 정치·사회적 논의에도 영향을 미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그 선출 과정의 비민주성과 불투명성은 시대 흐름과 명백히 충돌한다.
가톨릭 교회는 통상 교황 선출을 두고 “성령의 인도 아래 최선의 선택이 이뤄졌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콘클라베의 실제 모습은 종교적 영감을 넘어선 철저한 ‘정치’ 그 자체라는 것이 중론이다. 진보와 보수 간 이념 대립, 교회 개혁을 둘러싼 이해관계, 그리고 추기경 간 연합과 표 계산은 콘클라베의 주요 풍경이다. 그 결과물인 교황은 많은 경우 정치적 타협의 산물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황이 선출되는 순간, 교회는 이를 ‘신의 뜻’으로 포장하며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한다. 인간의 정치적 산물을 신의 선택으로 둔갑시키는 이러한 담론은, 종교의 신비성과 경건함을 내세운 일종의 허위 의식에 가깝다는 비판도 있다.
콘클라베의 철저한 비공개성과 의례화된 신비주의는 교황청 내부 권력 구조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외부의 견제나 참관 없이 밀실에서 이뤄지는 결정은 기득권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장치가 된다. 이는 중세 봉건 영주들이 성문 안에서 군주를 정하던 방식을 연상시킨다는 분석도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는 국민 주권과 투명성을 기본 원칙으로 삼는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는 여전히 신자들의 참여를 배제한 채 폐쇄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 시대의 가치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교황 선출이라는 중대한 절차가 신앙 전통이라는 이유만으로 시대적 흐름에서 예외로 남을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교회 측에서는 “종교 조직은 세속 국가와 운영 원리가 다르다”는 입장을 내세울 수 있다. 그러나 전근대적 방식으로 지도자를 선출하면서도 세계인의 존경과 신뢰를 기대하는 것은 모순이다. 콘클라베가 계속해서 기본적인 민주주의 원칙을 외면한다면, 그 결과는 교회의 도덕적 권위 실추로 이어질 수 있다.
시대는 변하고 있다. 그 속에서 여전히 ‘밀실에서 태어난 교황’이라는 역설을 반복하는 가톨릭 교회가 언제까지 현 체제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