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분석] 교황 레오 14세의 그림자: 개혁자인가, 기득권의 수호자인가?
바티칸 시국 –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본명 로버트 프리보스트)**는 ‘가교를 놓는 자’라는 교황 칭호와 함께 개혁적 인물로 조명받고 있다. 그는 시카고 출신의 미국인이자, 페루 빈민가에서 20년 이상 봉사한 경력을 지녔다. 하지만 그의 과거 행적과 행보에는 여러 논란이 자리하고 있으며, ‘개혁’이라는 이미지 뒤편에는 가톨릭 교회 내부의 구조적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범죄 은폐 논란…진실보다 조직 보호?
레오 14세는 성직자 시절 다수의 성범죄 은폐 의혹에 휘말렸다. 시카고의 한 가톨릭 고등학교에서는 성직자의 학생 성추행 및 아동 포르노 소지 사건이 발생했지만, 가해자는 오랜 시간 직을 유지하며 조치가 지연되었다. 결국 합의금 지급 이후에야 퇴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페루 치클라요 교구장으로 재직할 당시에도 성범죄 피해 여성들의 고발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성학대 피해자 단체인 SNAP은 바티칸에 조사를 요청했고, SCSA는 그의 교황 선출을 “피해자에 대한 모욕”이라고 규탄했다. 관련 감시 단체인 BishopAccountability는 그가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재직 당시, 가해자 명단 공개와 직위 박탈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재정 투명성 문제…개혁 의지는 어디에?
바티칸은 오랜 기간 재정 불투명성과 내부 부패 문제에 시달려 왔다. 레오 14세는 성직자부 장관 시절에도 자산 운용 내역 미공개, 감사체계 강화 소극적 대응, 회계 부서 인력 감축 등의 행보로 비판받았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이 추진하던 바티칸 은행(IOR) 개혁은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고, 레오 14세 역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전문가들은 그가 “개혁보다 기득권 유지를 우선시한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폐쇄적 구조와 평신도 소외
레오 14세는 교회 내 평신도 참여 확대와 관련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2023년 세계주교시노드에서는 “평신도, 특히 여성의 발언권 확대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며 사실상 제한적 태도를 드러냈다.
또한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는 여전히 전원 남성 성직자 중심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는 교회의 권위주의적 구조가 여전함을 보여주는 상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 교회 개혁운동가는 “그는 성직자 중심의 전통을 강조하며 오히려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방적 개혁 기조에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언과 실천 사이…국제 정의 이슈의 딜레마
레오 14세는 이름을 레오 13세에게서 따오며 사회 정의, 환경 보호, 빈곤 퇴치 등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교황청의 실질적 변화는 없다”고 입을 모은다.
교황청은 여전히 화석연료 투자 구조 유지, 친환경 전환 예산 부족, 빈곤·난민 문제에 대한 시혜적 접근 등으로 비판받고 있다. 이에 대해 한 기후 NGO 활동가는 “교회가 외치는 선언은 있지만, 자산 운용과 정책은 구태를 반복한다”고 말했다.
‘다리를 놓는 자’, 진정한 쇄신으로 이어질까?
레오 14세는 상징적 수사보다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성범죄 은폐, 재정 부패, 평신도 배제 등은 더 이상 교회 내부의 문제로 축소될 수 없는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제 교황청이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고 진단한다. 한 종교사회학자는 “레오 14세가 침묵과 은폐의 관행에서 벗어나, 신뢰 회복을 위한 구조 개혁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BBC] 새 교황의 즉위명 '레오 14세'에 담긴 뜻은?
- [The Guardian] 성학대 생존자들의 분노: “피해자에 대한 모욕”
- [Reuters] 새 교황의 당면 과제: 재정과 교리 갈등
- [CBS News] SNS에 드러난 정치적 성향과 교황청의 입장 변화 가능성